top of page
2025국제교류전_네오룩_250x576.jpg
20250713_233916.png

윤수정 작가는 대만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교통 및 도시계획학 석사 과정을 마친 뒤, 2005년 프랑스로 건너가 디종 국립고등미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Dijon)에서 수학했고, 3년 뒤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학사(DNAF) 학위를 취득했다. 2009년, 파리 8대학(Université Paris 8)에서는 사진 전공으로 미술학사(BFA) 학위를 받았다. 동시대 예술 작업의 초기부터 일상 속의 조각 같은 순간을 포착하고 이를 반복하는 데 관심을 가져왔다. 이미지, 소리, 감각, 제스처가 끊임없이 반복된다고 여기며, 이를 바탕으로 삶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본래의 전공과도 맞닿아 있는 도시 개발 속 자연의 희생에 주목하며, "도시는 인간을 위해 자연을 죽인다"는 문제의식 아래 자연과 도시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인간과 기억, 장소와 기억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있다.

尹洙竫生於韓國,目前定居與工作於台北及韓國兩地。在取得首爾漢陽大學交通與都市計畫碩士學位之後,她在2005年前往法國第戎高等美術學校,並在3年後以評審獎取得DNAF學位。幾乎在同一時期,她於2009年取得法國第八大學攝影文憑。

在當代藝術發展初期,尹洙竫喜愛捕捉日常生活中的片段,她重複這些片段。對於生活的表達是很抽象的,因為她相信影像、聲音、感知與姿勢總是一直在重複。近期,連結她早期的主修,她開始關注自然與城市的關係,她認為由於都市的發展,「自然因為人類而死亡」。同時,她亦關注到人類與記憶;以及地方與記憶的關係。

Yoon, Soo-Jung was born in Korea. She lives and works currently in Taipei and in Korea at same time. After graduation a Master’s degree for Traffic & Urban planning in Hanyang University in Seoul. YOON went to Ecole National Superieur des beaux-Arts de Dijon in French in 2005, and earned her degree of DNAF with an award of Jury three years later. Almost same time, she got BFA degree for photography from Paris 8 University in 2009.

At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art, she has interested in capturing and seizing a piece in daily life, and she repeated this piece. It is abstract to express life because she believe that images, sounds, sensations and gestures are always repeat. Recently, she i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ity because she thinks“The nature die for human”in the urban development with reference to her original major. Also she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emory and on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memory.

이 프로젝트는 여성의 노동과 ‘집’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창작 작업이다. 패치워크와 재활용 의류, 꽃 자수가 놓인 천들로 구성된 이 작업은 하카(客家)의 집을 상징하며, 과거와 현재의 기억들이 문양 속에 겹겹이 스며들도록 엮어낸다. ‘집’은 시간이 축적되며 기억이 꽃처럼 피어나는 장소이며, 그 개념은 가족 구성원 각자의 감정과 회상을 통해 점차 형성된다. 각각의 기억은 마치 꽃처럼 피고 지며, 삶의 흐름 속에서 켜켜이 쌓인다. 천과 의복은 신체와 가장 가까이 맞닿는 재료로서 일상의 흔적을 고스란히 품고 있다. 바느질이라는 행위는 오랜 시간 여성의 삶과 노동, 돌봄의 서사와 맞닿아 있다. 작가는 집이 ‘살아 있는 집’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과 기억이 축적되어야 하며, 그 중심에는 어머니들의 존재가 있다고 믿는다. 《꽃의 집(The Flower House)》은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바느질과 이야기를 통해 하카 공동체의 기억과 역사를 되짚고, 보듬고, 치유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這是一個有關女性的勞動與家屋的創作計畫。作品以拼布、回收衣物及繡上花飾圖案的布料組合而成作為客家家屋的象徵,並將無數過去與現在的記憶在圖案上交融。「家」是無數回憶累積如花朵般綻放的地方。「家」的抽象意涵也是由每位家庭成員的情感與記憶所組成,每一段記憶都像一朵花從盛開到凋謝的過程。織品與衣物作為與身體接觸的媒介物,通過它我們可以窺見人們的生活的痕跡。縫紉技術與女性的生活及工作息息相關,我認為要讓一個房子變成家的樣貌,需要將人們無數的時間與記憶融入其中,特別是母親對家庭的貢獻。我期待透過花屋這件作品將客家的歷史與記憶縫補及癒合。

image.png

This is a creative project centered on women’s labor and the idea of home. The work is composed of patchwork, recycled clothing, and fabrics embroidered with floral patterns, symbolizing a Hakka house. These elements weave together countless memories from past and present through their patterns. "Home" is a place where memories bloom like flowers, layered over time. The abstract notion of home is formed through the emotions and recollections of each family member—each memory unfolding and fading like the life cycle of a flower. Textiles and garments, as materials tha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carry traces of everyday life. Sewing techniques are closely tied to women’s lives and labor. I believe that turning a house into a true home requires infusing it with time and memory, especially through the contributions of mothers. With The Flower House, I hope to mend and heal Hakka history and memory through stitches and stories.

image.png

<Somewhere in Between> 사진마다 한 여성이 등장한다. 그녀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며, 어떤 옷을 입고, 무엇을 먹는지는 모두 그녀가 놓인 환경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사진 속 여성은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다. 그녀는 지금 어떤 공간에 있는가? 그 공간에는 어떤 시간의 흔적들이 겹겹이 공존하고 있는가? 그녀의 표정은 무엇을 말하고 있으며, 그녀의 내면에는 어떤 사유와 감정이 흐르고 있을까?

그녀와 카메라 사이에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긴장감이 감돈다. 낯선 문화와 익숙한 환경 사이에서 그녀가 느끼는 정체성과 이질감은, 스스로가 이곳에 존재하면서도 동시에 부재한다고 느끼게 하는 경계를 만들어낸다. 그 경계는 매일 조금씩 소멸되기도 하고, 매일 새롭게 생성되기도 한다. 무엇이 그들을 구분하는가? 무엇이 그들을 함께하게 하는가?

서로 다른 문화가 접촉하는 지점에는 언제나 긴장이 흐른다. 그녀는 바로 그 긴장의 한가운데에 있다. 이 긴장은 그녀로 하여금 신체적으로, 지리적으로, 정서적으로 ‘경계’와 ‘틈’의 공간에 놓여 있다는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사이에 존재한다’는 것은 어떤 한 자리에 온전히 속하지 않는다는 뜻인 동시에, 둘 모두에 깊이 스며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모순적인 감각 속에서, 그녀는 존재의 또 다른 진실을 마주한다.

《界域之間》這是關於不同文化環境下的身份認同和界限,通過一張女性的照片展示這個主題。這名女性與攝影機之間有微妙的緊張關係,這種緊張感來自於她在不同文化和環境中的身份和差異感。她感到自己既不在這裡存在,又在這裡存在。當兩種不同文化相遇的邊界產生張力時,她處於這種緊張感之中。身處兩個地方之間的感覺意味著既不屬於任何一個地方,同時也屬於兩個地方。

<Somewhere in Between>, there is a woman in the picture. What they think, how they behave, what they wear and what they eat all depend on their own environment and cultural background. A woman is looking at the camera. What space is she in? What traces are coexisting in the space? What expression is she making? What is she thinking? What emotion is she feeling? She has a subtle tension between her and her camera. The sense of identity and disparity that she feels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cultures is the boundary that makes her think that she does not exist here as well as exists. The boundary is extinguished little by little every day, and sometimes it is newly created every day. What sets them apart? What brings them together? There is a tense atmosphere at the boundary where two different cultures meet. She is in that tension. This tension makes her feel physically, geographically, and emotionally between some boundaries (in certain gaps). The feeling of being in between means that it doesn’t belong to any place, and it also means that it belongs to both places at the same time.

©2023 by Daechumoo_Finear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