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수 작가는 낯선 환경에서 마주하는 사람과 사람, 일상과 풍경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계에 주목한다. 그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이름과 상황, 그로 인해 변화하는 자신의 감정과 신체적 반응을 민감하게 포착하고, 이를 ‘몸의 기록’으로 시각화한다. 일상에서 비롯된 상처와 욕망, 흔들리는 정체성과 기억은 작가의 몸을 통과해 표현되고, 이는 곧 세계와 연결되는 하나의 언어가 된다. 주로 ‘몸‘이라는 ’장소‘를 매개로 관계와 이야기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개인의 경험이 사회와 역사, 정치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소외되는지를 질문한다. 작가는 존재의 조건을 묻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몸의 흔적을 기록하며, 개인의 서사가 사회적 맥락과 맞닿아 있음을 드러낸다. 강릉원주대학교 미술학과(서양화 전공)를 졸업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Come and Go 2》(2024, 스페이스형), 《Naked Flesh》(2024, 갤러리스페이스O), 《Come and Go》(2023, 플레이스막2), 《ROOM》(2021, 학고재아트센터) 등이 있다.
藝術家關注於陌生環境中,人與人、日常與風景之間所產生的關係。她敏銳地捕捉這些關係中突如其來的命名與情境,以及因此而引發的情緒與身體反應,並將其視覺化為「身體的記錄」。那些源自日常的傷痕與欲望、搖擺不定的認同與記憶,透過她的身體被表現出來,成為與世界連結的一種語言。藝術家以「身體」作為承載經驗的場所,持續探索關係與敘事的可能性,並反思個人經驗如何在社會、歷史與政治的脈絡中被建構或邊緣化。她透過記錄在其中生存的身體痕跡,質疑「存在」的條件,並呈現出個人敘事與社會結構之間的深層連結。
她畢業於江陵原州大學美術系(西洋畫專攻)。主要個展包括《Come and Go 2》(2024,Space Hyeong)、《Naked Flesh》(2024,Gallery Space O)、《Come and Go》(2023,Place Mak2)以及《ROOM》(2021,Hakgojae Art Center)等。
Siesu Kim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that emerge between people, everyday life, and landscapes encountered in unfamiliar environments. She sensitively observes the unexpected names, situations, and emotional or physical responses that arise within these relationships, and visualizes them as “records of the body.” Wounds and desires rooted in daily life, along with shifting identities and memories, are expressed through the artist’s body, becoming a language that connects with the world. Using the body as a site of inquiry, Kim explores the potential of relationships and narratives. Her work poses questions about how individual experiences are shaped and often marginalized within broader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By recording the traces of a body navigating existence, the artist reveals how personal stories inevitably intersect with the collective landscape.
S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ine Arts (Paint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Her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Come and Go 2 (2024, Space Hyeong), Naked Flesh (2024, Gallery Space O), Come and Go (2023, Place Mak2), and ROOM (2021, Hakgojae Art Center).
그동안 나의 정체성을 오로지 개인으로 한정해 생각해왔지만, 태어나면서부터 우리는 결코 홀로 세상을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예전에는 세상과 단절된 채 산 중턱에서 화전민처럼 혼자 살아갈 수 있으리라 믿었지만, 막상 집을 떠나려는 순간 갈 곳도 없고, 전기는 들어오는지, 수도 배관에서 녹물이 나오는 건 아닌지 따지게 되는 자신을 발견했다. 일상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와 기술, 생존의 방식이 필요했고, 오늘의 삶은 결국 인류 문명의 축적된 지혜와 통찰 위에 가능하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렇게 나는 세상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했고, 그 안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맺어야만 비로소 ‘나’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나를 둘러싼 수많은 감정과 경험, 선택과 관념은 모두 정치와 무관하지 않았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말처럼, 우리의 일상은 언제나 정치와 맞닿아 있었고, 그것은 결코 추상적인 문장이 아니었다.
사회화된 몸은 하나의 장소다. 정치적 이념과 사회의 맥락, 그리고 역사가 켜켜이 스며든 공간. 동시에 욕망이 태어나고 실현되는 자리이기도 하다. 우리의 일상은 어느덧 사회의 규범과 기대 속에 길들여져 있고, 때때로 내 몸은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관리된 삶 속에서,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스스로를 잃어간다. 보들레르는 『악의 꽃』에서 현대인을 ‘걸어 다니는 시체’에 비유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 안에서도 여전히 생의 의지와 충동을 본다. 차별과 배제, 혐오와 불안을 통과해 나아가는 몸은 세계를 향한 또 다른 시작이며, 살아가고자 하는 조용한 의지다. 완전히 단단하지 않아도, 그 불완전한 몸을 통해 삶은 다시 쓰이고, 우리는 세계와 새롭게 연결된다.
過去,我總是將自己的身份侷限於「個人」這個範疇中。然而,我逐漸意識到,自出生以來,我們便無法真正獨自生存於這個世界。我曾經相信,只要斷絕與世界的聯繫,就能像住在山腰上的火田民一樣獨自生活。然而,當我真的準備離開家時,我才發現自己無處可去;即使如此,我仍在意那裡是否有電、有沒有鐵管生鏽讓水變得混濁。我意識到,要維持日常生活,需要各種工具與技術,也需要生存的方法。而我今日所擁有的生活,正是建立在整個人類文明累積而成的智慧與洞察之上。
在適應社會的過程中,我學會了如何與這個世界共處,也深刻體認到,唯有與他人建立關係,我才能真正成為「我」自己。那些圍繞著我的情緒、經驗、選擇與觀念,從來都不是與政治無關的事。如同那句話所說:「個人的就是政治的。」我們的日常生活始終與政治息息相關,而這並不是一句抽象的口號,而是真實存在的感受。
被社會化的身體,是一個場域——一個被政治意識形態、社會脈絡與歷史層層滲透的空間;同時,它也是欲望誕生與實現的現場。我們的日常生活,早已在無形中被社會的規範與期待所塑造,有時甚至讓我覺得自己的身體不再屬於自己。在被管理的生活中,我們不知不覺地逐漸失去了自我。波特萊爾在《惡之花》中曾將現代人比喻為「行走的屍體」,失去了生的慾望與衝動。但儘管如此,我依然在那之中,看見生命的意志與微弱的衝動。
那穿越歧視、排擠、仇恨與不安,仍努力向前的身體,對我而言,是通往世界的另一種開始,是一種安靜而堅定的生存意志。即使它尚未完全穩固,甚至不完美,但正是透過這樣的身體,生命得以重新書寫,而我們也因此與世界產生嶄新的連結。

For a long time, I understood my identity solely as an individual. But over time, I came to realize that from the moment we are born, we are never truly alone—we rely on others to survive, to live, to be. I used to believe I could detach myself from the world and live in solitude, perhaps like a mountain farmer, removed from society. Yet, the moment I tried to leave home, I was met with the reality of having no destination. I found myself concerned with whether electricity would be available, or whether the water pipes might be corroded with rust. It became clear: sustaining daily life requires tools, technologies, and the accumulated wisdom of those who came before us. Our existence is deeply embedded in the long arc of human civilization.
In adapting to the world, I learned that I can only exist in relation to others. My emotions, experiences, choices, and perceptions are not separate from politics. As the phrase “the personal is political” suggests, our everyday lives are in constant negotiation with political structures—this is not a metaphor, but a lived reality.
The socialized body becomes a site—a vessel shaped by ideologies, histories, and systems of power. It is also a place where desire is born and expressed. Our lives are managed by norms and expectations so pervasive that, at times, my body no longer feels like it belongs to me. I find myself shaped by forces I cannot see, losing parts of myself in the process. Baudelaire once likened the modern individual to a “walking corpse,” emptied of desire and will—but even within that figure, I still see a glimmer of life: the will to persist, to move forward.
To move through discrimination, exclusion, hatred, and fear is, I believe, to begin again. Even if the body is fragile, uncertain, or incomplete, it still carries the quiet resolve to live. Through this imperfect body, life continues to be rewritten—and in that act, we find new ways to exist in relation to the wor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