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정원은 ‘이동’을 삶의 조건이자 예술의 원천으로 삼는 작가다. 물리적 장소의 변화뿐 아니라, 감각과 사유의 흐름까지 함께 이동하는, 정체성과 공간의 경계를 유동적으로 재구성하는 데서 출발한다. 작가에게 이동은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해체와 생성의 반복이다. 떠남과 멈춤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틈’과 ‘사이’의 공간은 그녀가 예술가로서 자신을 위치시키는 지점이며, 이 유목적인 상태에서 포착한 시공간의 에너지와 감각의 흔적을 시각화하며, 보이지 않는 흐름을 작품으로 드러낸다. 허정원의 예술은 고정된 정체성이 아니라, 움직임과 변화를 통해 갱신되는 존재의 기록으로써 끊임없이 탈영토화하며, 예술을 통해 지금-여기의 위치를 다시 사유하고자 한다.
2013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3년 이후 한국, 일본, 캐나다 등지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 연작은 그녀의 회화적 사유와 실천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許貞媛是一位將「移動」視為生命條件與藝術源頭的創作者。她的創作不僅關注物理空間的遷徙,也涉及感知與思維的流動,從而重新構築身分與空間之間的流動邊界. 對她而言,移動並非單純的地理位移,而是一種不斷解構與生成的過程. 在離去與停留之間所產生的「縫隙」與「之間性」空間,正是她作為藝術家定位自身的場域。她在這種遊牧般的狀態中捕捉流動時空中的能量與感知痕跡,並將這些看不見的流轉,以視覺形式呈現在作品之中。許貞媛的藝術並非展現固定的身分,而是透過持續的移動與轉變,書寫一段段自我更新的存在記錄。她持續進行「去疆域化」的實踐,透過藝術重新思考「此時此地」的存在方式與位置。
她於2013年獲得梨花女子大學美術博士學位,目前擔任江陵原州大學美術系教授。自2013年以來,她在韓國、日本、加拿大等地舉辦了多場個展,長達十年以上持續發展的系列作品《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集中體現了她對繪畫性思維與實踐的深度探索。
Huh Jung-won is an artist who regards movement as both a condition of life and a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Her practice begins with the fluid reconstruction of identity and spatial boundaries, encompassing not only physical relocation but also the movement of perception and thought. Movement, in Heo’s practice, is not merely an act of displacement but a continuous cycle of d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The “gaps” and “in-between” spaces that emerge between departure and pause become sites where she positions herself as an artist. Within this nomadic condition, she visualizes the energies of time and space, capturing fleeting sensations and giving form to invisible flows. Her work resists fixed identity, instead unfolding as a living record of existence—perpetually renewed through mo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art becomes a means to rethink and reframe her place in the here and now.
She holds a Ph.D. in Fine Ar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in 2013 and currently serves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Fine Arts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2013, she has held numerous solo exhibitions across Korea, Japan, and Canada. Her long-running series, 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 which has continued for over a decade, encapsulates her painterly philosophy and practice.
회화적으로 사생하다.
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 현대미술에서 ‘회화적(painterly)’이라는 개념은 단순한 이미지 재현이 아니라, 동시대 사회와 삶의 가치를 탐구하고, 작가 고유의 철학을 조형언어와 붓질로 표현하는 것이다. 나는 회화를 단지 이미지를 담는 지지체가 아니라, 자연의 순환을 품은 사유의 과정으로 인식하며, 그 흐름을 회화적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전통회화는 평면 위에 물감으로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었다면, 동시대 회화는 ‘회화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사유의 장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회화의 물질성과 형식을 해체하고 전복하는 두 가지 시도를 보여준다.
첫째는 회화의 재료(Materials)에 대한 탐구이다. 물감은 평면을 위한 도구가 아닌, 중력과 시간, 우연성에 따라 흐르며 자율적으로 형태를 생성하는 존재가 된다. 그 물감 덩어리들은 물성과 색채를 넘어, 자연의 흐름과 생멸의 시간성을 담은 회화적 오브제로 전환된다. 둘째는 표면(Surface)의 해체이다. 전통적인 틀로부터 분리된 회화 표면은 다시 새로운 구조와 결합되어 입체화된다. 회화는 더 이상 평면에 머물지 않고, 벽에 걸린 이미지가 아닌 공간 속에서 존재하는 구조물이 된다. 이 과정에서 회화는 작가의 감정과 행위, 그리고 시간의 흔적을 품은 다층적 구조로 확장된다. 나의 작업은 사생의 대상이 되는 풍경이나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내포한 생명과 죽음, 생성과 해체의 에너지를 느끼고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이는 단지 ‘그리는 행위’가 아닌, 회화적으로 ‘살아내는’ 실천이며, 반복과 우연, 기다림과 충돌, 생멸의 리듬을 통해 회화의 본질에 다가서고자 하는 시도이다. 나의 회화는 그렇게 회화적으로 사생하고, 사유하며, 존재한다.
繪畫式的寫生
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 在當代藝術中,「繪畫性(painterly)」的概念不再只是圖像的再現,而是一種探索當代社會與生命價值的方式,藝術家以其獨特的哲學透過造型語言與筆觸表達自身的思考與觀點。我認為繪畫並非單純的圖像載體,而是一個承載自然循環的思維過程,我試圖透過繪畫的方式來展現這種流動與循環。
傳統繪畫是在平面上以顏料重現對象,而當代繪畫則是一個不斷追問「何為繪畫」的思考場域。此次展覽呈現我對繪畫的物質性與形式進行解構與顛覆的兩個實驗性探索。
第一是對繪畫材料(Materials)的探討。在這裡,顏料不再只是為平面服務的工具,而是順應重力、時間與偶然性自由流動,並自我生成形態的存在。這些顏料的團塊超越色彩與材質,轉化為蘊含自然流動、生滅時間性的繪畫性物件。第二是對表面(Surface)的解構。從傳統畫框中解放出來的畫面與新的結構結合,形成立體繪畫。繪畫不再侷限於平面或牆上的圖像,而是成為一種存在於空間中的結構體。在此過程中,繪畫也轉化為包含藝術家情感、行動與時間痕跡的多層次結構。我的創作重點不在於再現風景或具體對象,而是在於感知並表達其中所蘊含的生命與死亡、生成與解體的能量。這不僅是「繪畫的行為」,更是一種以繪畫方式去「生活」的實踐。透過重複、偶然、等待、衝突與生滅的節奏,我嘗試貼近繪畫的本質。我的繪畫,就是這樣以繪畫性的方式進行寫生、思考與存在。

A Painterly Approach to Drawing
In contemporary art, the concept of the “painterly” is no longer limited to the reproduction of images. It is a mode of inquiry—one that explores the values of contemporary life and society, articulated through an artist’s unique philosophy, visual language, and brushwork. I regard painting not as a mere support for images, but as a contemplative process that embodies the cycles of nature. My work seeks to render this flow through painterly means. Whereas traditional painting was concerned with the depiction of subjects on flat surfaces using pigment, contemporary painting has become a field of thought that asks, “What is painting?” This exhibition presents two approaches that deconstruct and subvert the materiality and form of painting.
The first approach involves an exploration of materials. Here, paint is not a tool for flat representation but an autonomous substance that flows according to gravity, time, and chance. These masses of paint transcend their material and chromatic properties, becoming painterly objects that embody natural rhythms and the temporality of life and death. The second approach is a deconstruction of surface. Detached from the traditional frame, the painted surface is reconfigured into new structures, giving rise to three-dimensional forms. Painting is no longer confined to flatness or the wall but becomes a spatial structure—one that holds the artist’s gestures, emotions, and traces of time in layered form.
My practice does not seek to replicate landscapes or visible subjects. Rather, it focuses on sensing and expressing the energies of life and death, emergence and dissolution, inherent within them. Painting, for me, is not simply an act of depiction but an act of living—a painterly practice shaped by repetition, chance, waiting, collision, and the rhythm of becoming and vanishing. In this way, my painting draws, thinks, and exists—painter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