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5국제교류전_네오룩_250x576.jpg

2017년, 작가는 타이난 다즈촌(Daci Village)에서 간식을 파는 아칭(Ah-Chin)과 함께 그녀의 고향인 인도네시아 숭아이 두리(Sungai Duri)로 여행을 떠났다. 그곳에서 그녀는 《엄마는 말하지 않았어요(Mom You Didn’t Tell Me)》, 《과거는 기억 속에만 살아있다(The Past Only Lives in Memories)》, 《네가 행복하기만을(Asalkan kau bahagia)》, 《인생을 느긋하게 산책하길(Take a Carefree Stroll Through Life)》, 《내일(Tomorrow)》, 《마법의 말(The Magic Horse)》 등의 작품을 제작하며, 「숭아이 두리 가라오케 프로젝트(The Sungai Duri Karaoke Project)」 연작을 시작했다.

이후에도 현지 리서치를 위해 인도네시아를 지속적으로 방문하며 작업을 이어갔고, 2024년에는 같은 연작의 일환으로 《스위트 허니(Sweet Honey)》를 선보이며, 대만에 거주하고 있는 신이민자들의 고향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깊이 있게 확장해 나아가고 있다.

2017年,陳含瑜(1988-)跟隨臺南大崎村的小吃店主人阿琴回到她印尼的家鄉 Sungai Duri,製作了《Sungai Duri 卡拉記憶計畫》的〈媽媽你無對我講〉、〈往事只能回味〉、〈Asalkan kau bahagia〉、〈瀟灑走一回〉、〈明天〉與〈神奇的馬〉,之後持續再訪印尼進行田調與拍攝。2024年再度創作《卡拉OK記憶計畫》系列作品之〈甜蜜蜜〉,更貼近認識新住民的原鄉。

In 2017, Chen Han-yu (1988-) traveled with Ah-Chin, the owner of a snack shop in Tainan’s Daci Village, back to her Indonesian hometown, Sungai Duri, where she produced the works Mom You Didn’t Tell Me, The Past Only Lives in Memories, Asalkan kau bahagia, Take a Carefree Stroll Through Life, Tomorrow, and The Magic Horse as part of The Sungai Duri Karaoke Project series. She continued to revisit Indonesia for field research and photography, and in 2024, she created Sweet Honey as part of the same series—further deepening her understanding of the homeland of Taiwan’s new immigrants.

20250330_172333.jpg
20250330_172239.jpg

숭아이 두리(Sungai Duri)는 인도네시아 서칼리만탄 해안가에 위치한 마을로, 이름 그대로 ‘가시 돋친 강’을 의미한다. 물길을 따라 자라는 가시덤불에서 유래한 이 이름은, 마을의 외형만큼이나 그 안에 얽힌 복합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암시한다. 현지 하카(客家) 중국인들은 이곳을 ‘바이푸위안(百富園, 풍요의 집)’이라 부르며, 공동체의 번영과 연대를 상징하는 장소로 기억한다. 인근 도시 싱카왕(Singkawang)과 더불어 이곳은 인도네시아 최대의 하카 공동체가 살아가는 터전이지만, 역설적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자바 혹은 해외로 떠나며, 일부는 중개인을 통한 결혼으로 대만에 정착하기도 한다.

바이푸위안의 하카 주민들은 대만의 하카인들과 마찬가지로 가라오케에 대한 뜨거운 애착을 공유한다. 작가는 이 노래방이라는 매체를 통해 마을 안으로 조심스럽게 스며들며, 일상의 파편들을 영상으로 수집하고 그것을 재구성한다. 노래방 형식으로 촬영된 영상 속에서 주민들은 자기 삶의 단편을 노래로 표현하고, 그렇게 기록된 장면들은 다시 그들 앞에서 재생된다. 이후 작가는 이들을 초대해 공동체 가라오케 모임을 열고, 주민들은 자신이 주인공이 된 화면을 마주하며 각자의 인생을 상징하는 ‘삶의 주제가’를 부른다. 이 일시적이지만 깊이 있는 시간 속에서, 함께 부르는 노래는 흩어진 삶의 궤적들을 잠시 한자리로 모아준다.

이 프로젝트에서 가라오케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존재를 확인하고 관계를 생성하는 철학적 장치로 작동한다. 녹화된 영상 속에서 자신을 다시 바라보는 행위는 타자화된 자아와의 조우이자, 공동체의 서사에 스스로를 위치시키는 방식이기도 하다. 자막이 흐르고, 목소리가 겹치고, 화면 위에 삶이 덧입혀질 때 관객은 잠시 바이푸위안의 시간 속에 발을 들인다. 이 짧은 공존의 순간은, 인도네시아 하카인의 이주와 귀속, 유예된 정체성의 감각을 매개로 삼아, 디아스포라라는 더 큰 이야기로 확장된다.

20250330_172208.jpg

Sungai Duri 位於印尼西加里曼丹島的海岸線,印尼語意為「刺刺的河」,因當地河道遍布帶刺的植物而得名。當地客家華人稱其為「百富院」,象徵富貴與人氣的匯聚之地。百富院與鄰近都市山口洋(Singkawang)共構生活圈,成為印尼客家人最大的聚落。然而,許多當地年輕人離鄉至爪哇島或海外工作,甚至透過婚姻仲介嫁至臺灣。

百富院的客家華人和臺灣人一樣熱愛卡拉OK。陳含瑜以拍攝「卡拉OK伴唱帶」為媒介,走入在地居民的日常,記錄並勾勒他們的生活樣貌。最後,她邀請居民參與卡拉OK大會,讓他們觀看自己作為主角的伴唱畫面,並唱出最拿手的人生主題曲。在這一期一會的相聚中,以歌會友,映照出生命裡無端漂泊的經歷。

在這個藝術行動中,卡拉OK促成了人與人的相遇,透過被攝錄與重新觀看的過程,構築關係的可能性。在跑馬字幕逐字推進的時間裡,觀者得以與印尼百富院的鄉親短暫共s處,而這共時體驗亦延伸出印尼客家華人遷徙與離散的生命故事.

20250330_172310.jpg

Sungai Duri is located along the coastline of West Kalimantan, Indonesia; its name, meaning “thorny river” in Indonesian, refers to the thorny vegetation lining its waterways. Local Hakka Chinese call it “Bai Fu Yuan” (literally “House of Fortune”), a name that symbolizes a place of prosperity and community gathering. Together with the neighboring city of Singkawang, Bai Fu Yuan forms a shared living area and stands as the largest Hakka settlement in Indonesia. Yet, many local young people migrate to Java or overseas for work, with some even entering marriages arranged through brokers to settle in Taiwan.

Like their Taiwanese counterparts, the Hakka residents of Bai Fu Yuan share a deep enthusiasm for karaoke. The artist used recorded karaoke-style videos as a medium to immerse herself in local life, capturing and illustrating residents’ daily stories. Ultimately, she invited the community to a karaoke gathering where they could watch themselves featured as the stars of the recordings and perform their signature life theme songs. In this transient yet meaningful gathering, the act of singing together with friends reflects the unsettled journeys of their lives.

In this artistic endeavor, karaoke serves as a catalyst for human connection, creating opportunities for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recorded and rewatching oneself on screen. As the karaoke subtitles scroll forward, the viewer briefly shares space with the locals of Bai Fu Yuan. This synchronic experience, in turn, extends into a broader collective narrative of the migration and diaspora of the Indonesian Hakka Chinese.

image02.png

©2023 by Daechumoo_Finear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