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一 口 之 難 說>

通 高 之 雪, 襄 杆 之 風, 一 口 之 難 說

通 高 之 雪, 襄 江 之 風, 一 口 之 難 說

 일구지난설은 직접 겪어보지 않고서야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의 강릉 방언으로, 양간지풍 일구지난설 (襄杆之風 一口之難設) 과 양강지풍 일구지난설 (襄江之風 一口之難設) 에서 유래한다. 양간지풍 일구지난설이 양양과 간성 사이에 부는 바람은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거세다는 뜻이라면, 양강지풍 일구지난설은 양양과 강릉 사이에 부는 바람은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거세다는 뜻이다.

 각각 조선시대에 집필된 <수성지_이식, 1633> 와 <택리지_이중환, 1751> 에 실린 바,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거센 바람이 영동지방의 오랜 풍토임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일구지난설이 강릉에 토착한 표현으로 자리 잡아 오늘날 강릉 시민들이 흔히 쓰는 말이 됐듯, 일구지난설이라는 제목 아래 한자리에 모인 작가들도 대관령 동쪽의 바다를 면한 지역에서 살아가기에 할 수 있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강릉에서 고성에 이르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 즉 강릉, 양양, 속초, 고성, 네 지역은 영동지방, 강원도, 바다, 바람 등 많다면 많은 열쇳말을 공유하는 한편 많다면 많을 공통점 못지않게 많은 차이점을 갖는다. 올해 이들 지역 중에서도 양양과 강릉에 초점을 맞춰, 양강지풍 일구지난설의 미술현장을 선보이는 대추무파인아트는 앞으로 영동지방에서 활동하는 젊은 작가들의 작업을 꾸준히 톺아보는 장기 프로젝트를 이어갈 계획이다. 영동지방이어서 할 수 있고, 영동지방이니까 할 수 있는 일구지난설 프로젝트는 강원 동해안 미술 환경의 오늘을 조명하고 내일을 모색한다. 봄마다 대관령을 넘어 불어오는 마르고 거센 바람은 불씨에서 큰 불로 번져 산을 태우고 사람의 마음을 태운다면, 올 봄 출범한 일구지난설 프로젝트의 첫 전시 <일구지난설>은 상쾌하면서도 따스한 바람이 미술의 불씨를 큰 불로 번져나가 더 많은 삶을 풍요롭게 하겠다는 포부에서 출발한다. 2024년 봄, 강원 동해안 지역에 부는 미술 바람을 느껴보자. 그리고 이 바람이 불지피는 영동지역의 새로운 미술을 기대해보자.

​  박 연 후

channels4_profile.jpg

성 상 식  

캡처.JPG

이 주 영  

11.jpg

  황 호 빈    

 일구지난설 (一口之難說)은 직접 겪어보지 않고서야 설명할 수 없다는 영동지역의 방언입니다. 조선시대에 집필된 <수성지>와 <택리지>에 실린 문구에서 유래하는 <일구지난설>이란 말은 수백년이 지난 현재에도 영동지방에서 흔히 쓰이는 말로 토착화되었습니다. 

양간지풍 일구지난설 (
襄杆之風 一口之難說)은 1633년 이식의 <수성지(水城誌)>에 통고지설(通高之雪)과 함께 등장하는 표현이고, 양강지풍 일구지난설 (襄江之風 一口之難說)은 1751년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 등장하는 표현인데, 모두 영동지역의 바람이 강하게 부는 현상을 나타낸 말입니다. 
통천, 고성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통고지설) 양양, 간성, 또는 양양, 강릉에는 바람이 많이 부는데 한마디로 설명하기에는 어렵다는 뜻(양간지풍 일구지난설, 양강지풍 일구지난설)으로, 조선 중기에도 영동지방은 눈과 바람으로 유명했음을 알수 있는 대목입니다. 


                                                                    " 일구지난설이잖소~ "
                                                               
                                                                    " 일구지난설이야~ "

                                                                    " 일구지난설이래요~ "


강릉, 양양, 속초, 고성 등 영동지방에서 살아본 사람 대다수는 어르신들의 구수한 사투리 가운데 위와 같은 말을 접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2024년 대추무파인아트의 첫 기획전은 조선시대에 집필된 수성지, 택리지에 실린 문구에서 유래하는 <일구지난설>이라는 말을 매개로 강릉에서 고성에 이르는 강원 동해안 지역, 즉 강릉, 양양, 속초, 고성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강원도를 떠났다가 돌아온 이, 강원도에서 나고 자란 사람, 타지역에서 강원도로 이주한 이, 또는 강원도로 이주할 계획이 있는 사람들로 모인 이번 전시는 영동지방, 강원도, 바다, 바람, 눈 등 적지않은 열쇳말들을 공유하는 한편, 작가들의 서로 다른 경험 속에서 무수한 차이점을 발견합니다. 
비슷한듯 서로 다른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들 -박연후/강릉, 성상식/서울, 이주영/양양, 한승은/서울&강릉, 황호빈/양양&서울- 예술가가 노래하는 강원도의 면모까지 한자리에 모이게 하는 동기는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일구지난설) 긴밀한 <강원도의 힘>이 아닐까 합니다. 

태백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에서 서로 다른 작업 세계를 일궈나가는 작가들은 서로 다른 배경과 이력만큼 다채로운 한편 강원에, 동해에 이끌려 지금 여기서 작가의 삶을 살아갑니다. 이들을 강원으로, 동해로 이끈 바람은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만큼 거셉니다. 그 바람을 탄 작가들의 힘 있는 작업에서 동시대 강원 미술 현장의 일면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2023 by Daechumoo_Finear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