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ECHUMOO FINE ART
김 태 호
2023. 05. 27 ~ 08. 15
말없는 말이 하는 말
WORDS WITHOUT WORDS









김태호 작가(b. 1953~)는 개도 짖지 않을 만큼 권태로운 시골 마을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감상들이 본인이 가진 감정의 기저라고 회상한다. 방학마다 방문했던 무료하고 조용했던 할아버지 댁에서 호기심으로 가득했던 유년시절을 보낸 작가는 마루에서 보이던 하늘, 여러 종류의 곤충과 새, 마을의 풍경, 소, 개울가의 징검다리, 인물 등 그의 기억 속에 구체적으로 남아있는 장면들을 물감의 층 위에 펼치고 또 겹치기를 반복한다. 표면적으로 작가의 작업은 하나의 색으로만 보여지나 그 속에는 작가의 어린 시절 기억, 풍경, 인물, 감정 등이 여러 번의 덧칠로 그 안에 숨겨져 있는 것이다.
전시장 전체를 하나의 커다란 캔버스에 드로잉 하듯 구성한 이번 전시에는 영동지방의 높새바람을 상상한 설치물을 비롯하여 작가가 40여 년 간 수집한 소품들, 형상 없는 풍경화 들로 가득 채워져 관람객의 상상력을 극대화 한다. 또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은 아무것도 없는 풍경이다’ ,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말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는 작가의 말처럼 관람객들은 무형의 작업들 속에서 자신만의 숨겨진 이미지를 찾아보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다.
김태호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프랑스 국립 파리 8대학 조형예술학부에서 석사를 마쳤으며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을 주도하고 동시에 세계성을 담보해 낼 작가로 인정받으며 2016년 김종영 미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아트선재센터,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금호미술관 등 다수의 기관에 작가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Taiho Kim (b. 1953~) reminisces that his childhood years spent in a tranquil countryside village, so uneventful that not even dogs would bark, shaped the emotional underpinnings of his being. The artist, who spent his childhood summers in his grandfather's house, which was free and quiet, filled with curiosity. He unfolds and repeats the layering of specific scenes from his memories, such as the sky seen from the wooden floor, various insects and birds, village landscapes, cows, stepping stones by the stream, and people. These scenes are vividly etched in his recollections. Although the artist's work may appear on the surface as a single color, it contains multiple layers of the artist's childhood memories, landscapes, figures, emotions, and more, concealed within through repeated layers of paint.
In this exhibition, designed as if drawing on a large canvas that encompasses the entire exhibition space, the artist maximizes the viewers' imagination by filling with various elements. These include installations inspired by the Nopsae Baram (Föhn winds) of the Yeongdong region, as well as a collection of objects the artist has gathered over the past 40 years and shapeless landscape paintings. This immersive experience aims to enhance the viewers' imagination and engagement. As the artist eloquently states, "The most beautiful scenery in the world is a landscape with nothing," and "It is better not to speak about things that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In line with these profound statements, visitors will embark on a fascinating journey within the realm of intangible artworks, where they can discover their own hidden images. This captivating experience allows individuals to delve into the depths of their imagination, unraveling the intricate layers of meaning and finding personal connections within the ethereal works of art.
Taiho Kim, the acclaimed artist, holds a distinguished academic background, having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and earned his master's degree from France's prestigious National Paris 8 University. Notably, he has garnered recognition as a driving force in the advancement of contemporary Korean art, transcending national boundaries and attaining global acclaim. In 2016, he received the prestigious Kim Jong-Young Art Prize, solidifying his esteemed reputation. His profound artistic creations have found homes in esteemed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t Sonje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and Kumho Museum, among many others.
2023 DAECHUMOO OPEN CALL 선정 작가 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고 사 리
서 인 혜
향후 일정 개별 통보
심사 총평
2023년 처음 시행하는 대추무파인아트 오픈콜 작가 공모는 접수인원 91명 중 필수 제출서류 및 포트폴리오 검토를 통해 1차 서류심사에 35명, 2차 면접심사에 6인을 선발하여 최종 2명의 작가를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작업의 완성도나 주제적인 측면에서 시의성과 장소성이 잘 반영된 작가들의 작업을 중점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심사에 응시한 작가들 가운데 특히 강릉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지역 미술계 커뮤니티와 흥미로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연계할 수 있는지를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지역성이라는 지엽적 한계에 있는 전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및 해외의 여러 지역에서 참여한 작가들의 작업은 드로잉, 회화, 영상, 설치 등 장르 경계를 넘어 작업 성향까지도 개인적 자아에서 출발해 지역, 환경, 사건 등 사회 전반적인 관심을 창작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조형 언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 아래 몇몇 작가들에게서 개인의 주어진 환경과 상황 그리고 현 시점을 주시하며 독특한 조형 언어로 자신의 창작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작가의 특성을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최종 작가 선정 기준은 대추무 파인아트의 공간과 작업의 관계맺음도 자세히 살펴 공간의 특성과 맞물려 고유 언어의 본연성을 잃지 않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 창작의 구체적인 과정을 주시하였고, 또한 지역 작가들 간의 커뮤니티를 원활하게 형성해 나갈 수 있는지 프로젝트 성향과 작가의 태도를 고려하였다. 또한 구상한 전시 계획을 강릉에서 실행해 나가는데 무리가 없는지도 판단하였다.
길지 않은 시간 동안 작업을 준비할 경우, 해당 장소성에 대한 연구와 리서치에 대한 시간이 부족할 수 있기에 지역성에 대한 이해도와 커뮤니티 중심의 장소 특정적 개념과 설치 작업이 가능한 작업이 작가 본인의 발전 가능성은 물론 강릉 지역 예술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선정된 작가들의 경우 자신의 개인적인 서사를 중심으로 여러 세대와 지역을 거쳐 공동체 연대를 추구해오거나, 땅을 기반으로 기후 변화나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코로나로 비롯한 기후 위기에 대한 문제 의식과 함께 비건, 대안적 농업, 발효에 관한 흥미로운 제안이 관심을 끌었다. 이들의 전시가 강릉 예술계와의 접점을 만들어내며 커뮤니티 활동에 더 큰 계기로 작동할 수 있기를 바라며 올해 하반기에 있을 전시 결과물에 기대를 가져본다.
강릉을 기반으로 국내외 문화예술 기관 및 작가, 예술인들과 교류하며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대추무 파인아트는 ‘Leader in Art Sharing’ 이라는 비전으로 2020년 설립된 비영리 전문예술법인입니다.
2023년 처음 시행되는 ‘대추무 파인아트 OPEN CALL’은 신진 작가 발굴과 지원, 지역문화 활성화라는 큰 틀에서 공모와 심사를 통해 최종 2인을 선발합니다. 선정된 작가에게는 대추무 파인아트 전시와 상금 500만원이 지원됩니다. 대추무 파인아트는 작가의 열정과 재능이 지역 문화 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고, 긍정적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대추무 파인아트 OPEN CALL’은 강릉시가 함께합니다.
Daechumoo Fine Art is a non-profit professional arts corporation established in 2020 in Gangneung City, with a vision of a 'Leader in Art Sharing'. The organization supports creative activities by exchanging with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as well as artists.
"Daechumoo Fine Art OPEN CALL" aims to discover and support emerging artists, as well as to revitalize local culture. Through a competition and selection process, two finalists will be chosen and awarded 5,000,000 won prize (equivalent to approximately 3,500 USD) and the opportunity to exhibit artworks in Daechumoo Fine Art. The organization hopes that the passion and talent of the selected artists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share positive energy.
"Daechumu Fine Art OPEN CALL" is supported by Gangneung City.

2023 DAECHUMOO FINE ART OPEN CALL 은 이렇게 진행되었습니다.
대추무 OPEN CALL
예산 및 사업계획 수립
대추무 OPEN CALL
운영 자문단 구성
김석모 (강릉 솔올미술관장)
김태호 (전 서울여대 교수)
설원기 (전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대추무 OPEN CALL 공고
DAECHUMOO FINE ART
1차 서류 검토
총 91명 지원자 중 35인 선정
대추무 OPEN CALL
심사위원 구성
양지윤 (대안공간 루프)
이관훈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조주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운영 자문단 회의
및 심사위원 추천
심사위원 2차 서류 심사
35인중 최종 선정 작가 2인의
3배수인 6인을 면접대상자로 선정
심사위원 3차 면접 심사
최종 작가 선정
고사리
서인혜